벼(Oryza sativa)-화본과

 

 

 

 

 

 

벼꽃의 형태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

 

동인도 원산의 식용작물로 논이나 밭에 심는다. 높이는 1m 정도이고 잎은 가늘고 길며 성숙하면 줄기 끝에 이삭이 나와 꽃이 핀 후 열매를 맺는다. 벼의 열매를 찧은 것을 쌀이라고 하며, 전세계 인구의 40% 정도가 쌀을 주식량으로 한다. 벼속에 속하는 식물로는 20여 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재배되고 있는 것은 벼(O. sativa)가 대부분이다. 서부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서 O. glaberrima를 소규모로 재배하고 있으나 이는 원시적인 벼로서 최근에는 벼(O. sativa)로 대치되어 가고 있다.

줄기 끝에 많은 수의 작은이삭이 원추화서로 달리는 꽃은 익으면서 아래로 처지고 7~8월에 핀다. 장타원형의 호영은 털이 있고 까락은 어떤 것은 있고, 어떤 것은 없다. 종자로 번식한다.

 

우리 나라에는 중국을 거쳐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전파 경로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첫째는 우리 나라의 벼는 화북지방의 벼와 한가지인 원립종()이고, 또 용산문화()에 벼와 반달 모양의 돌칼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나라에도 반달 모양의 돌칼이 널리 분포되어 있다.

 

더욱이 서기전 5, 6세기경의 탄화미가 경기도 여주군 흔암리에서, 서기전 2300년의 벼껍질이 경기도 일산지역 토탄층에서 출토된 것으로 미루어 보아, 한사군() 이전의 청동기나 그 이전 시대부터 해로나 육로를 통하여 우리 나라에 들어왔지만 자연환경에 맞지 않은 북부에서는 크게 보급되지 못하고 남부에서는 자연환경이 알맞아 널리 퍼졌다는 설이다.

 

벼에서 얻어지는 것은 나락(벼:正租)과 볏짚인데, 나락은 종자용을 제외하고는 도정하여 쌀과 왕겨 ·쌀겨 등으로 나누어진다. 쌀은 밥을 짓는 데 90% 이상이 쓰이고, 술 ·떡 ·과자 ·엿 등의 원료로 쓰인다. 볏짚과 왕겨는 연료 및 퇴비로 많이 쓰이나 볏짚은 가마니 ·새끼 등의 짚 세공용으로도 쓰인다. 쌀겨는 기름을 짜거나 사료 ·비료 ·약용 등으로 많이 이용된다. 쌀의 성분은 대체로 탄수화물 70∼85%, 단백질 6.5∼8.0%, 지방 1.0∼2.0%이며, 쌀 100g의 열량은 360cal 정도이다.

 

2015.8.22  맑음

'耕作物. 農作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오엽딸기  (0) 2016.07.04
유채꽃  (0) 2015.11.07
닥풀  (0) 2015.09.20
여주  (0) 2015.09.20
감자  (0) 2015.05.24
수수-한강의 꽃  (0) 2014.10.08
피마자-한강의 꽃  (0) 2014.09.23
벼-한강의 꽃  (0) 2014.09.08

감자(Solanum tuberosum)-가지과

 

 

쌍떡잎식물 통화나물목 가지과의 여러해살이풀.

 

감자는 마령서()·하지감자·북감저()라고도 한다. 페루·칠레 등의 안데스 산맥 원산으로 온대지방에서 널리 재배한다. 높이는 60∼100cm이고 독특한 냄새가 난다. 땅속에 있는 줄기마디로부터 가는줄기가 나와 그 끝이 비대해져 덩이줄기를 형성한다.

덩이줄기에는 오목하게 팬 눈 자국이 나 있고, 그 자국에서는 작고 어린 싹이 돋아난다. 땅위줄기
의 단면은 둥글게 모가 져 있다.
잎은 줄기의 각 마디에서 나오는데 대개 3∼4쌍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고 작은 잎 사이에는 다시 작은 조각잎이 붙는다.

6월경에 잎겨드랑이
에서 긴 꽃대가 나와 취산꽃차례를 이루고 지름 2∼3cm 되는 별 모양의 5갈래로 얕게 갈라진 엷은 자주색 또는 흰색의 꽃이 핀다. 꽃이 진 뒤에 토마토 비슷한 작은 열매가 달린다.

삶아서 주식 또는 간식으로 하고, 굽거나 기름에 튀겨 먹기도 한다. 소주의 원료와 알코올
의 원료로 사용되고, 감자 녹말은 당면,
공업용 원료로 이용하는 외에 좋은 사료도 된다.

성분은 덩이줄기에 수분 75%, 녹말 13∼20%, 단백질 1.5∼2.6%, 무기질
0.6∼1%, 환원당 0.03mg, 비타민 C 10~30mg이 들어 있다. 질소화합물의 절반을 차지하는 아미노산 중에는 밀가루보다 더 많은 필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날감자 100g은 열량 80cal에 해당한다.

덩이줄기의 싹이 돋는 부분은 알카로이드
의 1종인 솔라닌(solanine:C45H73O15N)이 들어 있다. 이것에 독성이 있으므로 싹이 나거나 빛이 푸르게 변한 감자는 많이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015.5.23  맑음 

'耕作物. 農作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채꽃  (0) 2015.11.07
닥풀  (0) 2015.09.20
여주  (0) 2015.09.20
  (0) 2015.08.26
수수-한강의 꽃  (0) 2014.10.08
피마자-한강의 꽃  (0) 2014.09.23
벼-한강의 꽃  (0) 2014.09.08
메밀-한강의 꽃  (0) 2013.09.29

수수(Sorghum bicolor)-화본과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

 

원산지는 동아시아에서 중앙아시아에 걸친 대륙성 기후의 온대지방으로 추정되며, 신석기시대부터 아시아와 유럽 일대에서 재배되었다. 중국에서는 오곡의 하나로서 고대로부터 중요한 작물로 취급하였다. 한국에는 중국을 거쳐 전해졌으며 오랜 옛날부터 재배되어 온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의 수수 재배 상황은 북한 지역이 비교적 재배면적이 넓으며 한국에서는 강원 및 경기에서 일부 재배되고 있다.

고량(高梁)·촉서·고랑·로속(蘆粟)이라고도 한다. 높이 1.5∼3m이다. 표면은 굳고 흰색의 납질물이 있으며 속이 차 있다. 줄기에는 10∼13개의 마디가 있고 줄기 끝에 이삭이 달린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50∼60cm, 너비 5cm 정도로 1줄기에 10개 정도 달린다. 처음에는 잎과 줄기가 녹색이나 차츰 붉은 갈색으로 변한다.

이삭의 모양은 품종에 따라 다르다. 몰려 있는 것, 퍼져 있는 것, 이삭이 곧게 선 것과 숙인 것 등이 있다. 작은 이삭은 불임화와 임실화(稔實花)로 1개의 꽃이 되어 있으며 수수알은 길이 2∼3mm, 너비 2mm 정도이다. 흔히 밭에 심는다. 빛깔은 흰색·노란색·갈색·붉은 갈색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배젖의 녹말 성질의 차이에 따라서 메수수와 찰수수가 있다. 척박한 땅이나 건조한 땅에서도 잘 자라며 조생종은 화곡류 중에서 생육기간이 가장 짧아서 파종 후 약 80일이면 수확할 수 있으므로 고랭지·개간지 등의 작물로 이용된다.

 

2014.10.7  맑음

'耕作物. 農作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닥풀  (0) 2015.09.20
여주  (0) 2015.09.20
  (0) 2015.08.26
감자  (0) 2015.05.24
피마자-한강의 꽃  (0) 2014.09.23
벼-한강의 꽃  (0) 2014.09.08
메밀-한강의 꽃  (0) 2013.09.29
메밀-한강의 꽃  (0) 2013.09.21

피마자(Ricinus communis)-대극과

 

 

위쪽의 붉은색 갈라진 것 수꽃, 아래쪽 노란색 알 같은 것 암꽃 ↓

 

열매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한해살이풀.

원산지에서는 나무처럼 단단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가지가 나무와 같이 갈라지며,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방패 모양이거나 손바닥 모양이며 5∼11개로 갈라진다. 앞면은 녹색이지만 갈색을 띠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개화하며 암수한그루로서 연한 노란색이나 붉은색으로 피며, 원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수꽃은 밑부분에 달리고 수술대가 잘게 갈라지며 꽃밥이 있다. 화피갈래조각은 5개이며 암꽃은 윗부분에 모여 달린다.

씨방은 1개로서 털이 나고 3실이다. 3개의 암술대가 끝에서 다시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서 3실이고 종자가 1개씩 들어 있으며 겉에 가시가 있거나 없다. 종자는 타원형이고 밋밋하며 짙은 갈색 점이 있어 마치 새알 모양이고 리시닌이 들어 있다.

 

2014.9.21  맑음)

'耕作物. 農作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주  (0) 2015.09.20
  (0) 2015.08.26
감자  (0) 2015.05.24
수수-한강의 꽃  (0) 2014.10.08
벼-한강의 꽃  (0) 2014.09.08
메밀-한강의 꽃  (0) 2013.09.29
메밀-한강의 꽃  (0) 2013.09.21
노란 연꽃-한강의 꽃  (0) 2013.08.27

벼(Oryza sativa)-화본과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

 

동인도 원산의 식용작물로 논이나 밭에 심는다. 높이는 1m 정도이고 잎은 가늘고 길며 성숙하면 줄기 끝에 이삭이 나와 꽃이 핀 후 열매를 맺는다. 벼의 열매를 찧은 것을 쌀이라고 하며, 전세계 인구의 40% 정도가 쌀을 주식량으로 한다. 벼속에 속하는 식물로는 20여 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재배되고 있는 것은 벼(O. sativa)가 대부분이다. 서부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서 O. glaberrima를 소규모로 재배하고 있으나 이는 원시적인 벼로서 최근에는 벼(O. sativa)로 대치되어 가고 있다.

 

벼에서 얻어지는 것은 나락(벼:正租)과 볏짚인데, 나락은 종자용을 제외하고는 도정하여 쌀과 왕겨 ·쌀겨 등으로 나누어진다. 쌀은 밥을 짓는 데 90% 이상이 쓰이고, 술 ·떡 ·과자 ·엿 등의 원료로 쓰인다. 볏짚과 왕겨는 연료 및 퇴비로 많이 쓰이나 볏짚은 가마니 ·새끼 등의 짚 세공용으로도 쓰인다. 쌀겨는 기름을 짜거나 사료 ·비료 ·약용 등으로 많이 이용된다. 쌀의 성분은 대체로 탄수화물 70∼85%, 단백질 6.5∼8.0%, 지방 1.0∼2.0%이며, 쌀 100g의 열량은 360cal 정도이다.

 

2014.9.4  맑음

'耕作物. 農作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5.08.26
감자  (0) 2015.05.24
수수-한강의 꽃  (0) 2014.10.08
피마자-한강의 꽃  (0) 2014.09.23
메밀-한강의 꽃  (0) 2013.09.29
메밀-한강의 꽃  (0) 2013.09.21
노란 연꽃-한강의 꽃  (0) 2013.08.27
연꽃-한강의 꽃  (0) 2013.08.27

메밀(Fagopyrum esculentum)-마디풀과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메밀은 각지에서 재배한다. 높이는 60∼90cm이고 줄기 속은 비어 있다. 뿌리는 천근성이나 원뿌리는 90∼120 cm에 달하여 가뭄에 강하다. 잎은 원줄기 아래쪽 1∼3마디는 마주나지만 그 위의 마디에서는 어긋난다.

 

꽃은 백색이고 7∼10월에 무한꽃차례로 무리지어 피며 꽃에는 꿀이 많아 벌꿀의 밀원이 되고 타가수정을 주로 한다. 수술은 8∼9개이며 암술은 1개이다. 메밀꽃은 같은 품종이라도 암술이 길고 수술이 짧은 장주화와 암술이 짧고 수술이 긴 단주화가 거의 반반씩 생기는데 이것을 이형예현상이라고 한다.

 

열매는 성숙하면 갈색 또는 암갈색을 띠며 모양은 세모진다. 중국 북동부와 시베리아 등지에서 재배종과 형태가 거의 같은 야생종이 발견되어 이것이 재배종 메밀의 원형인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메밀은 건조한 땅에서도 싹이 잘 트고 생육기간이 60∼100일로 짧으며 불량환경에 적응하는 힘이 특히 강하다. 서늘하고 알맞게 비가 내리는 지역에서 자라는데, 생육 초기에는 온화하고, 개화 성숙기에는 고온이 아니며 비가 적은 조건이 좋다. 그러나 생육기간이 짧고 기후에 대한 적응력이 강하므로 북위 70 °까지 중점토를 제외한 어디에서나 재배할 수 있어 그 재배 범위가 매우 넓다.  

 

종류에는 이른 씨뿌림에 적응하는 여름메밀, 늦은 씨뿌림에 적응하는 가을메밀, 그리고 그 중간 성질을 가진 중간형으로 구별된다. 풋것은 베어 사료로 쓰며, 잎은 채소로도 이용된다. 종자의 열매는 메밀쌀을 만들어 밥을 지어 먹기도 하는데, 녹말작물이면서도 단백질 함량이 높고 비타민 B1 ·B2, 니코틴산 등을 함유하여 영양가와 밥맛이 좋다. 가루는 메밀묵이나 면을 만드는 원료가 되어 한국에서는 옛날부터 메밀묵과 냉면을 즐겨 먹었다. 섬유소 함량이 높고 루틴(rutin)이 들어 있어서 구충제혈압강하제 쓰이는데, 이 루틴을 생산할 목적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한강변(반포)  (2013.9.28  흐림)

 

'耕作物. 農作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자  (0) 2015.05.24
수수-한강의 꽃  (0) 2014.10.08
피마자-한강의 꽃  (0) 2014.09.23
벼-한강의 꽃  (0) 2014.09.08
메밀-한강의 꽃  (0) 2013.09.21
노란 연꽃-한강의 꽃  (0) 2013.08.27
연꽃-한강의 꽃  (0) 2013.08.27
자작나무-한강의 꽃  (0) 2013.04.26

메밀(Fagopyrum esculentum)-마디풀과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메밀은 각지에서 재배한다. 높이는 60∼90cm이고 줄기 속은 비어 있다. 뿌리는 천근성이나 원뿌리는 90∼120 cm에 달하여 가뭄에 강하다. 잎은 원줄기 아래쪽 1∼3마디는 마주나지만 그 위의 마디에서는 어긋난다.

 

꽃은 백색이고 7∼10월에 무한꽃차례로 무리지어 피며 꽃에는 꿀이 많아 벌꿀의 밀원이 되고 타가수정을 주로 한다. 수술은 8∼9개이며 암술은 1개이다. 메밀꽃은 같은 품종이라도 암술이 길고 수술이 짧은 장주화와 암술이 짧고 수술이 긴 단주화가 거의 반반씩 생기는데 이것을 이형예현상이라고 한다.

 

열매는 성숙하면 갈색 또는 암갈색을 띠며 모양은 세모진다. 중국 북동부와 시베리아 등지에서 재배종과 형태가 거의 같은 야생종이 발견되어 이것이 재배종 메밀의 원형인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메밀은 건조한 땅에서도 싹이 잘 트고 생육기간이 60∼100일로 짧으며 불량환경에 적응하는 힘이 특히 강하다. 서늘하고 알맞게 비가 내리는 지역에서 자라는데, 생육 초기에는 온화하고, 개화 성숙기에는 고온이 아니며 비가 적은 조건이 좋다. 그러나 생육기간이 짧고 기후에 대한 적응력이 강하므로 북위 70 °까지 중점토를 제외한 어디에서나 재배할 수 있어 그 재배 범위가 매우 넓다.  

 

종류에는 이른 씨뿌림에 적응하는 여름메밀, 늦은 씨뿌림에 적응하는 가을메밀, 그리고 그 중간 성질을 가진 중간형으로 구별된다. 풋것은 베어 사료로 쓰며, 잎은 채소로도 이용된다. 종자의 열매는 메밀쌀을 만들어 밥을 지어 먹기도 하는데, 녹말작물이면서도 단백질 함량이 높고 비타민 B1 ·B2, 니코틴산 등을 함유하여 영양가와 밥맛이 좋다. 가루는 메밀묵이나 면을 만드는 원료가 되어 한국에서는 옛날부터 메밀묵과 냉면을 즐겨 먹었다. 섬유소 함량이 높고 루틴(rutin)이 들어 있어서 구충제혈압강하제 쓰이는데, 이 루틴을 생산할 목적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한강변 (2013.9.20  맑음)

'耕作物. 農作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수-한강의 꽃  (0) 2014.10.08
피마자-한강의 꽃  (0) 2014.09.23
벼-한강의 꽃  (0) 2014.09.08
메밀-한강의 꽃  (0) 2013.09.29
노란 연꽃-한강의 꽃  (0) 2013.08.27
연꽃-한강의 꽃  (0) 2013.08.27
자작나무-한강의 꽃  (0) 2013.04.26
하수오 열매-한강의 꽃  (0) 2012.10.06

노란 연꽃(Nelumbo nucifera Gaertn.)-수련과

        연꽃이 연한 붉은색 또는 흰색인데 이번에 만나본 꽃은 노란색이다.

 

쌍떡잎식물 수련과의 여러해살이풀.

 

충청남도 (2013.8.23  비)

'耕作物. 農作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마자-한강의 꽃  (0) 2014.09.23
벼-한강의 꽃  (0) 2014.09.08
메밀-한강의 꽃  (0) 2013.09.29
메밀-한강의 꽃  (0) 2013.09.21
연꽃-한강의 꽃  (0) 2013.08.27
자작나무-한강의 꽃  (0) 2013.04.26
하수오 열매-한강의 꽃  (0) 2012.10.06
토란-한강의 꽃  (0) 2012.08.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