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우기(測雨器)
측우기는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종 23년(1441)에 세계 최초로 발명한 우량계(雨量計)이다. 세종대왕은 땅속에 스며 든 빛물의 깊이를 재어 강우량을 측정하던 종래의 불완전한 방법을 철로 주조한 원통형 우량계를 발명, 강우량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정확히 측정케 하였다.
지방에서는 서울의 철제 측우기의 모형으로 자기나 와기를 만들어 사용하였으나 유감스럽게도 이때 작품들은 남아있지 않다.
이 측우기는 현존하는 것 중 가장 오래된 금영측우기(錦營測雨器)를 본뜨고 대석은 기상청에 보관중인 관상감 측우대를 본떠 제작한 것이다.
보물 561호.
예로부터의 잦은 홍수와 가뭄으로 인한 피해 및 벼농사를 중심으로 한 농업생산구조는 일찍부터 강우현상에 주목하고 우량을 측정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강우량 측정방법은 매우 부정확한 것이었으므로 보다 과학적인 측정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1441년(세종 23) 8월에 서운관(書雲觀)에서 측우기를 제작하게 되었다.
당시의 <세종실록>에는 다음과 같이 씌어 있다. "호조(戶曹)에서 아뢰기를, 각 도 감사(監司)가 강우량을 보고하는 법이 있으나, 땅이 말랐을 때와 젖어 있을 때에 따라 땅속에 스며드는 빗물의 깊이가 같지 않아 그것을 헤아리기 어려우니 청컨대, 서운관에서 대를 만들고 깊이 2자(尺) 지름 8치(寸)의 철기(鐵器)를 주조하여 대 위에 놓고 빗물을 받아 본관원(本觀員)에게 그 깊이를 재어서 보고하게 하고…… 또한 외방(外方) 각 관에서는 경중(京中) 주기(鑄器)의 보기에 따라 자기(磁器)나 와기(瓦器)를 써서 객사의 뜰에 놓아두고 수령이 물의 길이를 재어서 감사에게 보고하게 하여 감사가 전문(傳聞)하도록 하소서 하니, 그에 따랐다." 이 기사는 불완전했던 강우량 측정법을 기기를 써서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를 설명하는 역사적 기록이다. 그러나 이 기사는 어떤 자로 언제 어떻게 잰다는 구체적인 측정법을 제시하지는 않은 점을 보아 측우기는 제작했으나, 우량의 측정 제도는 완전하게 확립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측우기에 의한 우량의 측정 제도가 확립된 것은 1442년 5월이다. 이때 처음으로 〈세종실록〉에 측우기라는 이름이 등장한다. 쇠를 부어 만든 측우기는 길이가 1자 5치, 지름이 7치로 개량되고, 강우량은 비가 그쳤을 때 주척(周尺)을 써서 자·치·푼(分)까지 정확하게 재고, 비가 내리기 시작한 일시와 갠 일시를 기록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 강우량의 측정은 각 도와 군·현에 이르기까지 전국적으로 시행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때 확정된 측우기는 높이 32㎝, 지름 15㎝가량의 철제 원통이고, 주척의 길이는 약 21㎝이다. 이때부터 측우기로 강우량을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일이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다. 측정된 강우량은 곧 집계되고 각 지방의 통계는 중앙에 정기적으로 보고되어 전국에 걸친 강우량이 정확히 기록·보존되었다. 강우량을 재는 과학적인 방법이 세계 어느 지역에서도 아직 싹트지 않았을 때 조선에서 확립되었음은 매우 큰 의의를 가진다.
영릉 (2011.7.26 흐림)
'遺跡. 遺物, 文化財, 文化遺産'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동대향로-한강의 꽃 (0) | 2012.07.26 |
---|---|
신비의 파라오 투탕카멘(2/2) (0) | 2011.12.26 |
신비의 파라오 투탕카멘(1/2)-한강의 꽃 (0) | 2011.12.26 |
창경궁 대온실(식물원)-한강의 꽃 (0) | 2011.12.17 |
불비상(佛碑像)-한강의 꽃 (0) | 2010.11.26 |
탈 조가비-한강의 꽃 (0) | 2010.11.26 |
창녕위궁재사(昌寧尉宮齋舍)-한강의 꽃 (0) | 2009.12.28 |
앙부일구(해시계)-한강의 꽃 (0) | 2009.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