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 오순잔치-궁중정재(宮中呈才)-향발무 와 청성곡

 

향악정재

궁중정재에는 당악정재와 향악정재 두가지가 있다. 당악정재는 중국에서 들어온 중국 궁중무용이며 향악정재는 우리나라 궁중무용에 붙인 이름이다. 당악정재와 구분되는 향악정재의 특징은 시작과 끝에 엎드려 절을 하는 것, 우리말로 된 노랫말을 쓰는 것, 당악정재에 나오는 죽간자, 구호, 치어가 없는 것이다. 조선조에 들어와서는 한시를 노래하기도 했다. 이번 행사에는 향악정재 중에서 향발무와 무고무가 재현 고연되었다.

 

향발무

향발은 놋쇠로 만든 작은 타악기로 향발무는 이 향발을 양손의 모지와 장지에 묶어 매고 경쾌한 소리가 나도록 치면서 춤추는 향악정재로 그 무보는 '악학궤범'에 전한다.

 향발무

 

 

 

 

 

 

 

 

 

 

 

 

청성곡 

궁중움악으로 청석곡이 연주되었다. 대금독주의 백미로 가곡의 태평가를 2도 높인 다음 다시 한옥타브를 올려 장식음을 첨가하거나 특정음을 연장하여 만든 기악곡으로 다른 말로 '천성자진한잎', '요순천일지곡' 이라고도 한다. 청성곡은 높고 맑은 음역에서 연주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아름다운 가락이 부드럽고 힘찬 음색을 가진 대금의 선율과 조화를 이루어 신비로움을 자아낸다.

 청성곡

 

이 공연은 1743년 영조의 50회 생신에 창경궁 명정전에서 거행된 어연의례 중 정재공연을 한국문화재보호재단 주최로 공연된 내용입니다. 상세한 내용은 http://www.fpcp.or.kr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창경궁 명정전에서 (2006.6.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