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기러기(Anser albifrons)-오리과

 

 

 

 

 

 

기러기목 오리과의 조류.

 

몸길이 약 75cm이다. 몸 빛깔은 보통 회갈색인데 몸통 앞쪽이 등쪽보다 연하고 이마의 흰색무늬와 분홍색 부리, 오렌지색 다리, 배쪽의 불규칙한 가로무늬 등이 특징적이다. 학명과 영어명은 모두 '이마가 흰 기러기'라는 뜻이다. 한국에서는 흔한 겨울새이고 100~1,000마리 이상의 무리를 쉽게 볼 수 있는데, 11∼3월에 해안지역과 평지에서 눈에 띈다. 중부지방보다 남부지방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농경지·못·습지·만·간척지 및 하구 부근의 앞이 탁 트인 넓은 지역을 좋아하며, 낮에는 파도가 잔잔한 만이나 호수에서 잠을 자고, 아침과 저녁에는 농경지로 날아와 주로 식물성 먹이를 찾아 먹는다. 툰두라 하천의 섬이나 습지 풀밭에 접시 모양의 둥우리를 틀고 5월 중순~7월 상순에 한배에 3∼7개(보통 4개)의 알을 매일 1개씩 낳는다. 암컷이 알을 품은 지 21∼28일(보통 23일)이면 새끼가 알을 깨고 나오는데, 45일간(캐나다 북서부) 또는 55∼65일간(요콘 삼각주)의 성장 기간을 거쳐 둥우리를 떠난다. 유럽·아시아·북아메리카 등지에서 번식하며, 북위 30° 이남 지역에서 겨울을 난다. <Naver>

2016.1.2  맑음

'새(鳥類)'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고비  (0) 2016.01.05
왜가리  (0) 2016.01.03
큰기러기  (0) 2016.01.03
뿔논병아리  (0) 2016.01.03
까치와 어치  (0) 2016.01.02
직박구리 묘기  (0) 2015.12.31
까마귀에 쫓기는 말똥가리(?)  (0) 2015.12.31
물까치  (0) 2015.12.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