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울새 2024.10.17
- 촉새 2024.10.17
- 물양귀비 2024.10.17
- 백할미새 2024.10.15
- 빅토리아연 2024.10.15 1
- 저어새 2024.10.14
- 큰기러기 2024.10.14
- 단풍잎부용 2024.10.13 1
- 열매를 따 먹는 딱새 암컷 2024.10.12
- 오색딱따구리 암컷 2024.10.12
- 으름덩굴 열매 2024.10.12
- 범부채 2024.10.12
- 대륙검은지빠귀 2024.10.10
- 흰배멧새 2024.10.10
- 노랑딱새 수컷 2024.10.10
- 노랑딱새의 날샷 2024.10.09
- 울새 2024.10.07 2
- 촉새 2024.10.07 1
- 쥐꼬리망초 2024.10.07
- 좀작살나무 열매를 따 먹는 딱새 2024.10.06 1
- 좀사마귀 2024.10.06 1
- 딱새 암컷 2024.10.05
- 노랑눈썹솔새 2024.10.05
- 파리매 2024.10.05
- 무당거미 2024.10.05
- 꼬리박각시 2024.10.03 1
- 어치 2024.10.03 1
- 딱새 암컷 2024.10.03
- 황띠배벌 2024.10.03
- 노랑어리연 2024.10.02
울새
촉새
물양귀비
백할미새
빅토리아연
저어새
큰기러기
단풍잎부용
열매를 따 먹는 딱새 암컷
오색딱따구리 암컷
오색딱따구리
요즈음 잘 보이지 않던 오색딱따구리가 오후에 보이기 시작한다. 먹이를 찾느라 나무를 쪼으며 한참을 버물어 주어 동영상도 촬영할 수 있었다.
동영상
2024.10.11 맑음
으름덩굴 열매
범부채
대륙검은지빠귀
흰배멧새
노랑딱새 수컷
노랑딱새 수컷
노랑딱새 암컷이 먼저 오고 오늘 몸색이 화려한 수컷이 보이기 시박했다.
2024.10.9 맑음
'새(鳥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매를 따 먹는 딱새 암컷 (0) | 2024.10.12 |
---|---|
오색딱따구리 암컷 (0) | 2024.10.12 |
대륙검은지빠귀 (0) | 2024.10.10 |
흰배멧새 (0) | 2024.10.10 |
노랑딱새의 날샷 (0) | 2024.10.09 |
울새 (2) | 2024.10.07 |
촉새 (1) | 2024.10.07 |
좀작살나무 열매를 따 먹는 딱새 (1) | 2024.10.06 |
노랑딱새의 날샷
울새
울새(Erithacussibilans)-딱새과
온지 일주일이 지나니 이제는 행동반경을 넓혀 먹이를 찾아 다니고 있다. 88호수가의 좀작살나무 사이를 오가며 기어나와 열매를 주어 먹고 있다.
참새목 딱새과의 조류.
몸길이 14cm이다. 암수 모두 윗면은 올리브색을 띤 갈색이고 위꽁지덮깃은 붉은 갈색, 꽁지는 밤색, 아랫면은 흰색이다. 멱과 뒷가슴의 깃털은 올리브색을 띤 갈색 윤곽이 있어 비늘처럼 보이고 연한 갈색 물결무늬가 있다. 꽁지는 보통 위로 조금 올라간다. 5월과 10월에 한반도를 지나가는 나그네새이다.
봄에는 시내나 도시공원 관목 숲에서 독특한 울음소리를 쉽게 들을 수 있으나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지는 않는다. 이른 아침에는 숲 가장자리에서 행동하며 낮에는 우거진 숲속을 걸어다닌다. 날 때는 날개를 펄럭여서 높게 날고 땅 위에서는 나뭇가지 사이를 뛰어 건너는데 동작은 재빠르다. 쓰러진 나무 위나 낮은 나뭇가지 위에서 가슴을 펴고 꽁지를 높게 치켜 세운 채 가늘고 약한 소리로 지저귄다.
6∼7월 중순 사이에 한배에 3∼4개의 알을 낳아 약 12일 동안 알을 품는다. 먹이로는 딱정벌레의 유충과 성충, 나비·벌·잠자리 등을 잡아먹는다. 시베리아 중앙 및 동남부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부, 하이난섬, 인도차이나 북부에서 겨울을 난다. (주산백과)
2024.10.7 흐림
촉새
촉새(Emberiza spodocephala)-멧새과
참새목 멧새과의 조류.
한국에서는 북부 고지대의 함경남도 장진호 주변에서 일부 번식하나 대부분 봄과 가을에 한반도를 지나가는 흔한 나그네새이다. 통과 시기는 4월 중순에서 5월 중순 또는 9월 하순에서 10월이다. 주로 산지 관목 숲이나 경작지 부근의 덤불 숲, 침엽수와 낙엽활엽수의 혼합림에서 번식한다. (두산백과)
2024.10.7 흐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