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그리스도 성탄 대성당(리가 리트비아) 2024.09.07
- 멧비둘기 2024.09.07
- 수크령 2024.09.05
- 동고비 2024.09.05
- 아물쇠딱따구리 2024.09.05
- 쇠딱따구리 2024.09.05
- 금강아지풀 2024.09.04
- 호랑나비 2024.09.04
- 직박구리 2024.09.04
- 되지빠귀 2024.09.04
- 검정황나꼬리박각시 2024.09.04
- 꼬리박각시 2024.09.04
- 익모초 2024.09.04
- 산검양옻나무 열매 2024.09.02
- 오목눈이 먹이사냥 2024.09.02
- 큰부리까마귀 2024.09.02
- 청딱따구리 2024.09.01
- 흰머리오목눈이 2024.09.01 1
- 쇠솔새 2024.09.01
- 벨리카 플라나나 초원의 목동 2024.08.31 4
- 학습하는 직박구리 2024.08.31
- 산솔새 2024.08.31
- 참빗살나무 열매 2024.08.31
- 오목눈이 2024.08.30 1
- 쇠딱따구리 2024.08.30
- 직박구리 2024.08.30
- 왜가리 2024.08.29
- 네발나비 2024.08.29
- 쏙독새 2024.08.28 2
- 청딱따구리 2024.08.28
그리스도 성탄 대성당(리가 리트비아)
멧비둘기
수크령
동고비
아물쇠딱따구리
쇠딱따구리
금강아지풀
호랑나비
직박구리
직박구리
2024.9.4 맑음
되지빠귀
검정황나꼬리박각시
꼬리박각시
익모초
산검양옻나무 열매
오목눈이 먹이사냥
큰부리까마귀
청딱따구리
흰머리오목눈이
흰머리오목눈이
흰머리오목눈이는 희귀조의 하나이나 재작년부터 올림픽공원에 텃새가 되어 년중 보여왔으나 최근에 보이지 힘들었는데 오늘 한마리가 다시 나타나기 시작하여 무척 반가웠다.
2024.8.31 맑음
쇠솔새
벨리카 플라나나 초원의 목동
벨리카 플라나나 초원의 목동
슬로베니아 캄니크의 율리안 알프스의 사비나 알프스산맥의 수억년의 카스트로 지역으로 해발 1,666m의 고원에 초지가 형성되어 6~9월에 이르는 기간 가축을 방목하기위해 머물며 지내는 목동들의 거처로 유명하다.
이들은 이곳에 4개월간을 머물러 자급자독하는 생활의 터전으로 거주하는 독특한 가옥으로 이루어진 마을로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을 이어오고 있는 곳으로 현재도 가축을 키우고 있다.
벨리카 플라나나 초원입구 카페에 전통복장을 한 목동이 찾는 이들을 반겨주고 있다. 자연경관이 좋고 겨웋철 스키장으로 유명해져 문명의 이기를 피하여 전기, TV도 없는 환경친화적 전통방식을 고수하여 관광객의 수가 늘어가는 곳의 하나다.
'旅行-슬로베니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집 (0) | 2024.07.25 |
---|---|
벨리카 플라니나-하산 (0) | 2018.07.21 |
벨리카 플라니나 박물관 (0) | 2018.07.19 |
벨리카 플라니나-전통음식 (0) | 2018.07.19 |
The Chapel of Snow Mary-벨리카 플라니나 (0) | 2018.07.18 |
벨리카 플라니나(Velonika Planina)-1 (0) | 2018.07.16 |
춘희-피란 슬로베니아 (0) | 2017.09.06 |
학습하는 직박구리
산솔새
참빗살나무 열매
오목눈이
쇠딱따구리
직박구리
왜가리
네발나비
쏙독새
쏙독새(Caprimulgus jotaka)-쏙독새과
여름새로 야행성이라 보기 힘든 쏙독새를 직박구리 덕분에 우연하게 조우를 하게되어 쏙독새를 처음으로 만나보는 운 좋은 날이 되었다.
쏙독새목 쏙독새과의 철새.
야행성으로 낮에는 어두운 숲속이나 우거진 나뭇가지에 있을 때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로 위장술이 강하다. 쏙독새라는 이름은 ‘쏙∼쏙’이라고 우는 소리를 바탕으로 명명되었다. 날개 길이는 214∼217㎜, 부리 길이는 7∼11㎜, 부척(跗蹠: 새의 다리에서 정강이뼈와 발가락 사이의 부분)은 9∼17㎜이다.
평지에서 해발 500∼1,500m의 낙엽 활엽수나 침엽수림 등의 산림과 관목이 발달되어 있는 풀숲에서 관찰된다. 번식기는 5∼8월이며 집중 번식기는 6월이다. 한배 산란 수는 2개이며 알은 흰색 바탕에 잿빛 색깔이다. 포란 기간은 19일이며 부화 후 최소 6일 동안은 둥지에 있으면서 어미에게 먹이를 받아먹는다. 우리나라와 파키스탄 서북부에서 러시아 극동, 중국, 일본 등에 번식하는 아종인 jotaka는 인도차이나, 중국 남부, 인도네시아 및 필리핀에서 월동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2024.8.27 맑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