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댑싸리 2023.10.08
- 노랑원추리 2023.10.07
- 감을 먹는 참새 2023.10.06
- 울새 먹이사냥 2023.10.06
- 노랑딱새 2023.10.06
- 노랑딱새 암컷 2023.10.04
- 박새의 주홍날개꽃매미 사냥 2023.10.04 1
- 되지빠귀 물마시기 2023.10.04
- 노랑딱새 2023.10.04 1
- 동고비 2023.10.04
- 울새 2023.10.02
- 어치 2023.10.02
- 줄점팔랑나비 2023.10.02
- 장끼 2023.10.01
- 어치 2023.09.30
- 노랑딱새 2023.09.29
- 검정꼬리박각시 2023.09.29 1
- 겁없는 되지빠귀 2023.09.29
- 나방을 잡아먹는 쇠솔새 2023.09.28 3
- 노랑어리연 2023.09.28 1
- 오색딱따구리 2023.09.25
- 고마리 2023.09.25 1
- 수까치깨 2023.09.25
- 서양등골나물 2023.09.25
- 쇠솔딱새 2023.09.25 1
- 밤나무 열매 2023.09.25 1
- 어치 2023.09.25 1
- 밀화부리(2) 2023.09.24 2
- 대륙검은지빠귀 2023.09.24
- 때까치 2023.09.23
댑싸리
노랑원추리
감을 먹는 참새
참새(Passer montanus)-참새과
참새목 참새과의 새.
2023.10.6 맑음
'새(鳥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새 (0) | 2023.10.11 |
---|---|
동박새 (0) | 2023.10.08 |
감을 먹는 청딱따구리 (0) | 2023.10.08 |
상모솔새 유조 (1) | 2023.10.08 |
울새 먹이사냥 (0) | 2023.10.06 |
노랑딱새 (0) | 2023.10.06 |
노랑딱새 암컷 (0) | 2023.10.04 |
박새의 주홍날개꽃매미 사냥 (1) | 2023.10.04 |
울새 먹이사냥
울새(Erithacus sibilans)-딱새과
온지 몇일이 지나자 적응이 되었는지 잡목에서 산책로까지 나와 먹이 사냥을 하고 있다.
참새목 딱새과의 새.
2023.10.5 맑음
'새(鳥類)'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박새 (0) | 2023.10.08 |
---|---|
감을 먹는 청딱따구리 (0) | 2023.10.08 |
상모솔새 유조 (1) | 2023.10.08 |
감을 먹는 참새 (0) | 2023.10.06 |
노랑딱새 (0) | 2023.10.06 |
노랑딱새 암컷 (0) | 2023.10.04 |
박새의 주홍날개꽃매미 사냥 (1) | 2023.10.04 |
되지빠귀 물마시기 (0) | 2023.10.04 |
노랑딱새
노랑딱새( Ficedula mugimaki )-딱새과
수컷
암컷
참새목 딱새과의 조류.
2023.10.5 맑음
'새(鳥類)'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을 먹는 청딱따구리 (0) | 2023.10.08 |
---|---|
상모솔새 유조 (1) | 2023.10.08 |
감을 먹는 참새 (0) | 2023.10.06 |
울새 먹이사냥 (0) | 2023.10.06 |
노랑딱새 암컷 (0) | 2023.10.04 |
박새의 주홍날개꽃매미 사냥 (1) | 2023.10.04 |
되지빠귀 물마시기 (0) | 2023.10.04 |
노랑딱새 (1) | 2023.10.04 |
노랑딱새 암컷
박새의 주홍날개꽃매미 사냥
박새 사냥(Parus minor)-박새과
오늘 노랑딱새를 기다리고 있는 중에 박새가 먼저와 산초나무에서 천적이 없다는 해충으로 알려진 중국에서 온 주홍날개꽃매미를 잡아 먹다 물고 날아가는 광경을 운좋게 촬영하여 박새가 골치아푼 해충을 잡아먹는 익조임을 실감있게 목격하게 되어 기뻤다. 박새에게 맛있는 해바라기 씨를 열심히 갔다 준 보람이 있었다.
참새목 박새과의 조류.
2023.10.4 흐림
되지빠귀 물마시기
되지빠귀(Turdus hortulorum)-지빠귀과
탐조를 하다보면 새들이 물을 자주 먹으러 오고있다. 오늘 어느 진사님이 새들을 위해 물사발을 준비하여 물을 부어 놓았다. 저녁부렵 되지빠귀가 와서 물을 먹는 모습을 촬영하다보니 새의 부리구조가 뾰죽하고 길어 물을 먹으려 머리를 숙여 물을 담아 올리다 보면 거의 흘러내리고 삼투압에 의해 겨우 한 방을의 물이 남아 이를 먹고 있는 것이 보인다. 결국 새들은 물을 만나도 한 두방울의 물을 먹는 셈이 되고 있으니 자주 물 을 찾고 있는 것 같다.
참새목 지빠귀과의 조류.
2023.10.3 맑음
노랑딱새
노랑딱새( Ficedula mugimaki )-딱새과
가을에 지나가는 나그네 새인 노랑딱새 암컷이 먼저 보이고 며칠 후 오늘 수컷이 보이기 시작했다.
암컷
수컷
참새목 딱새과의 조류.
2023.10.3 맑음
동고비
울새
울새( Erithacus sibilans )-딱새과
봄 가을에 지나가는 나그네새인 울새를 오늘 처음 제대로 촬영을 하였다. 어둑한 잡목사이로 재빠르게 움직여 촬영이 쉽지 않았으나 다행으로 기회가 주어져 예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참새목 딱새과의 새.
몸길이 14cm이다. 암수 모두 윗면은 올리브색을 띤 갈색이고 위꽁지덮깃은 붉은 갈색, 꽁지는 밤색, 아랫면은 흰색이다. 멱과 뒷가슴의 깃털은 올리브색을 띤 갈색 윤곽이 있어 비늘처럼 보이고 연한 갈색 물결무늬가 있다. 꽁지는 보통 위로 조금 올라간다. 5월과 10월에 한반도를 지나가는 나그네새이다.
봄에는 시내나 도시공원 관목 숲에서 독특한 울음소리를 쉽게 들을 수 있으나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지는 않는다. 이른 아침에는 숲 가장자리에서 행동하며 낮에는 우거진 숲속을 걸어다닌다. 날 때는 날개를 펄럭여서 높게 날고 땅 위에서는 나뭇가지 사이를 뛰어 건너는데 동작은 재빠르다. 쓰러진 나무 위나 낮은 나뭇가지 위에서 가슴을 펴고 꽁지를 높게 치켜 세운 채 가늘고 약한 소리로 지저귄다.
6∼7월 중순 사이에 한배에 3∼4개의 알을 낳아 약 12일 동안 알을 품는다. 먹이로는 딱정벌레의 유충과 성충, 나비·벌·잠자리 등을 잡아먹는다. 시베리아 중앙 및 동남부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부, 하리난섬, 인도차이나 북부에서 겨울을 난다. (두산백과)
2023.10.2 맑음
어치
줄점팔랑나비
장끼
어치
노랑딱새
검정꼬리박각시
겁없는 되지빠귀
나방을 잡아먹는 쇠솔새
쇠솔새(Phylloscopus borealis)-휘파람새과
쇠솔새가 자귀나무에서 나방을 잡아 먹는데 쉽게 먹지를 못하고 나방을 물고 머리를 아래위로 움직이며 몸을 한바퀴 돌아서 통채로 삼켜버렸다. 애벌래를 먹는 것은 자주 보였으나 나방을 먹는 것은 처음 보았다.
참새목 휘파람새과의 조류.
2023,9.27 흐림
노랑어리연
오색딱따구리
고마리
수까치깨
서양등골나물
쇠솔딱새
밤나무 열매
어치
밀화부리(2)
대륙검은지빠귀
때까치
때까치(Lanius bucephalus)-때까치과
오래만에 때까치를 만났다. 주변의 여러나무로 옯기며 주변을 살피다 멀리 사라졌다. 다시 만나보고 싶다.
참새목 때까치과의 소형 조류.
2023.9.22 맑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