앉은부채(Symplocarpus renifolius)-천남성과





천남성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땅 속 깊이 뿌리줄기가 자라지만 땅 위로는 줄기가 거의 자라지 않고 잎과 꽃만 핀다. 잎은 길이와 너비가 30~40㎝로 비슷하며, 잎 기부가 움푹 패여 심장 형태로 생겼다.

 

연한 자주색의 꽃은 늦봄에 커다란 포가 달린 육수꽃차례로 무리져 잎이 나오기 전에 핀다. 꽃자루가 거의 없다. 꽃잎은 4장이지만 꽃들이 빽빽하게 피어 마치 거북의 등처럼 보이며 수술 4개, 암술 1개를 가진다.

 

열매는 여름철에 작은 옥수수 알갱이처럼 둥글게 모여 익는다. 물가의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뿌리줄기와 어린싹을 나물로 먹기도 하며, 특히 뿌리줄기를 이뇨제 또는 토했을 때 진정제로 사용한다. 애기앉은부채(S.nipponicus)는 앉은부채와 비슷하지만, 잎이 좁고 긴 타원형으로 잎이 나온 뒤에 꽃이 피는 점이 앉은부채와 다르다. 애기앉은부채는 강원도 북쪽 지방의 고지에서 자란다. <申鉉哲 글> 


2019.3.31  때때로 흐림


'植物園. 樹木園, 花木園, 花園'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자고  (0) 2019.04.04
중의무릇  (0) 2019.04.04
김의털  (0) 2019.04.03
페르시카 파로티아  (0) 2019.04.01
솔송나무  (0) 2019.04.01
괴불나무  (0) 2019.04.01
개별꽃  (0) 2019.03.31
왕매발톱나무  (0) 2019.03.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