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탕나무속(Ilex)-감탕나무과

 

감탕나무는 2~25m의 높이의 관목과 나무로 아시아, 유럽, 북아프리카와 북아메리카 그리고 남아메리카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잎들은 단순하며, 종에 따라서 낙엽성이거나 상록수이며, 잎들은 전연(全緣)이고, 가는 톱니가 나있거나, 또는 넓게 간격을 두고 가시모양의 끝을 지니기도 한다. 이들은 일부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암꽃과 수꽃이 다른 자웅체이다. 수분 작용은 주로 벌과 기타 곤충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열매는 작은 핵과이고, 보통 4개에서 6개의 씨가 있으며, 붉은 색에서 자주빛의 검정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호랑가시나무는 약한 독성이 있으며, 인간이 섭취하면 설사를 하거나 구토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수많은 새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먹이가 되며, 또한 기타 야생 동물들의 먹이가 된다. 가을과 초 겨울에 호랑가시나무는 외관상으로 단단하고 보기 흉하게 된다. 여러 번의 추위로 얼거나 서리로 뒤덮인 후에 호랑가시나무는 부드러워지며, 먹을 수 있을 만큼 순해진다. 겨울의 비바람 속에서, 호랑가시나무는 가시 잎을 통해 육식 동물로부터 새들에게 피난처와 먹이를 제공한다. 호랑가시나무의 꽃들은 때로는 나방(자나방)의 애벌레의 먹이도 된다. 배선굴나방(호랑가시나무로부터 전적으로 영양분을 의존한다)와 날개물결가지나방 (Ectropis crepuscularia)를 포함하는 나비목의 애벌레들이 호랑가시나무에 영양분을 의지한다. 왜콩풍뎅이 (Popillia japonica)도 호랑가시나무 잎을 먹고 사는 동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감탕나무는 크리스마스 시즌에 장식용으로 쓰인다.

 

많은 종들이 섬과 작은 산맥의 특정 지역에 서식하여 진화하였고, 크게 유용한 식물이 되었으며, 이제는 다수의 호랑가시나무가 드물어지고 있다. 열대 종들은 특히 서식지 파괴와 남획에 의해 자주 위협받고 있으며, 수많은 종들이 사라질 위험에 처해 있으며, 적어도 2종이 멸종되었다. <위키백과>

 

산에들에야생화사랑카페에서 올해 첫기행으로 천리포수목원 기행을 하게되어 열매뿐이었지만 여러종의 호랑가시나무를 볼수 있어 모아 보았다.

 

1. 호랑가시나무(Ilex cornuta)

 

2. Ilex decidua 'Red Cascade'

 

 

 

3. 둥근잎호랑가시나무(Ilex platyphilla 'Caerhays')

 

 

4. 양호랑가시나무 교배종(Ilex x Altaclaresnis 'Purple shaft')

 

 

 

5. 완도호랑가시나무(Ilex x wandoensis C.F. Miller & Kim)

 

 

 

 

6. 자주호랑가시나무(Ilex purpurea)

 

 

 

 

7. 흑해호랑가시나무(Ilex colchica)

 

2015.1.24  흐림

'植物園. 樹木園, 花木園, 花園'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분꽃나무-한강의 꽃  (0) 2015.01.30
풍년화-한강의 꽃  (0) 2015.01.29
샹들리에-한강의 꽃  (0) 2015.01.29
붓순나무-한강의 꽃  (0) 2015.01.28
납매-한강의 꽃  (0) 2015.01.25
마크로필라풍년화-한강의 꽃  (0) 2015.01.25
낙우송의 기근(氣根)-한강의 꽃  (0) 2015.01.25
풍로초-한강의 꽃  (0) 2015.01.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