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Pinus densiflora)-소나무과
창경궁식물원을 계절따라 피는 꽃들을 보러 자주 가는 편이다. 언제나 같이 같은 코스로 들어갔다 나오곤 한다. 오늘은 조금 늦게 도착을해 식물원을 돌아보고 뒤돌아 나오는데 오후의 햇빛을 받은 큰 소나무가 눈에 들어 온다. 수없이 지나다닌 길이었건만 오늘따라 소나무의 참 모습이 느껴지는 듯하다. 가지고 간 렌스가 접사용렌스라 사진 담기가 쉽지는 않았지만 몇장을 담아오며 무엇인가 표현키 어려운 기운이 보이는 듯 했다.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
솔·솔나무·소오리나무라고도 한다. 한자어로 송(松)·적송(赤松)·송목·송수·청송이라 한다. 줄기는 높이 35m, 지름 1.8m 정도이며 수피는 붉은빛을 띤 갈색이나 밑부분은 검은 갈색이다. 바늘잎은 2개씩 뭉쳐나고 길이 8∼9cm, 너비 1.5mm이다. 2년이 지나면 밑부분의 바늘잎이 떨어진다.
꽃은 5월에 피고 수꽃은 새가지의 밑부분에 달리며 노란색으로 길이 1cm의 타원형이다. 암꽃은 새가지의 끝부분에 달리며 자주색이고 길이 6mm의 달걀 모양이다. 열매는 달걀 모양으로 길이 4.5cm, 지름 3cm이며 열매조각은 70∼100개이고 다음해 9∼10월에 노란빛을 띤 갈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길이 5∼6mm, 너비 3mm의 타원형으로 검은 갈색이며 날개는 연한 갈색 바탕에 검은 갈색 줄이 있다. 잎은 각기·소화불량 또는 강장제로, 꽃은 이질에, 송진은 고약의 원료 등에 약용으로 쓴다. 화분은 송홧가루로 다식을 만들며 껍질은 송기떡을 만들어 식용한다. 건축재·펄프용재료로 이용되고 테레핀유는 페인트·니스용재·합성장뇌의 원료로 쓰인다. 관상용·정자목·신목·당산목으로 많이 심었다.
중국 북동부, 우수리, 일본에 분포하고 한국의 북부 고원지대를 제외한 전역에 자라며 수직적으로는 1,600m 이하에 난다. 남복송(男福松:for. aggregata)은 열매인 구과가 가지의 밑부분에 모여난다. 금송(for. aurescens)은 잎의 밑부분을 제외하고 전부 황금 빛깔을 띤다. 여복송(女福松:for. congesta)은 열매인 구과가 가지의 끝부분에 여러 개가 모여달린다.
금강소나무(for. erecta)는 줄기가 밋밋하고 곧게 자라며 외형적으로 소나무의 형태이나 곰솔의 요소가 있기 때문에 소나무와 곰솔간의 잡종으로 본다. 처진소나무(for. pendula)는 가지가 가늘고 길어서 아래로 늘어진 형태이다. 반송(盤松:for. multicaulis)은 줄기 밑부분에서 굵은 결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수형이 우산처럼 다북하다. 은송(for. vittata)은 잎에 흰색 또는 황금색의 가는 선이 세로로 있다.
2014.9.11 맑음
'植物園. 樹木園, 花木園, 花園'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라풀-한강의 꽃 (0) | 2014.09.13 |
---|---|
버들분취-한강의 꽃 (0) | 2014.09.13 |
각시취-한강의 꽃 (0) | 2014.09.13 |
물옥잠-한강의 꽃 (0) | 2014.09.13 |
꽃무릇-한강의 꽃 (0) | 2014.09.12 |
가시연꽃-한강의 꽃 (0) | 2014.09.10 |
백부자-한강의 꽃 (0) | 2014.09.10 |
단양쑥부쟁이-한강의 꽃 (0) | 2014.09.10 |